본문 바로가기

방사선학/해부학/생리학

위 . 장관계 (Alimentary tract) 위 . 장관계 (Alimentary tract) 상부소화관 조영촬영 : 식도·위·십이지장 조영 Ba(바륨)계 조영제가 사용되는 조영촬영법 : 위점막이나 십이지장 구부를 투시 검사할 때 Compression 촬영 technique 사용. (미세한 병소 발견에 좋다) 이중조영을 위해 발포정을 사용하는 촬영(위X선 검사→이중조영법) 상부소화관 조영에서 발포제 : gastroluft Alimentary tract 검사시 사용되는 C-M: ① Gastro grafin ② BaSO4 ③ Esophatrast 1.식도조영술(Esophagography) 1) 해부학적 구조 식도는 제6경추와 제 11흉추 높이에 위치, 길이 25cm의 관상구조형태로 경부(cevical), 흉부(thoracic), 복부(abdominal).. 더보기
인체의 체온조절 -항상성- - 인체의 체온조절 - 인간은 생명현상 유지에 체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약간의 온도 변화에도 물질대사 속도가 변하고 효소활동도 영향을 받으며 생명활동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까지 생긴다. 1) 체온 인체내의 온도는 높고 인체 외의 온도는 낮기 때문에 체심부와 체표부로 구분된다. 따라서 체온은 체심부 온도와 체표부 온도로 나뉜다. 체표부의 온도는 잘 변하지만 체심부의 온도는 대체적으로 37℃로써 잘 변하지 않아 통상 체심부의 온도 즉, 신체 심부 온도를 측정하고 이것을 체온이라 한다. 심부온도 중 항문에 7cm이상 삽입하여 측정하는 항문 온도(Anal Temperature)가 가장 신뢰성이 높으며 편의상 구강 온도를 측정한다. 겨드랑이를 이용한 액와 온도는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더보기
특수감각과 피부 특수감각과 피부 수용기의 분류와 감각의 종류 외계의 환경이나 신체 내부의 환경 중에서 자극으로 될 수 있는 것을 골라 내어 그것에 반응할 수가 있다. 외수용기 원격수용기: 시각,청각 접촉수용기: 미각,후각,피부감각 내수용기 고유수용기: 근육,건,관절 내장수용기: 통각,공복감,목마름,질식감,충만감,오심 화학적내수용기: 대동맥궁,경동맥동 그 외, 기계적수용기, 압력수용기, 화학수용기, 전자.전파수용기,상해수용기로 나뉜다. 총피 일반 신체의 피부와 여기에 부속되는 각질기 및 피부선을 총칭하여 총피라고 한다. 총피의 기능 신체의 보호 체온조절 수분,지방질 등 기타 물질의 배설 촉감,온열감 및 통각의 감수 약물 등의 흡수 비타민 D의 저장 피부 촉각, 압각, 통각 및 냉.온각 등이 있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로 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