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렌트겐

방사능이란 무엇일까? 방사능이란 무엇일까? 흔히들 방사능과 방사선을 구별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불안정한 원자핵은 안정한 상태로 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됩니다. 여기서 방출하는 에너지를 방사선이라고 하고 불안정한 핵이 방사선을 방출하려는 성질을 방사능이라고 합니다. 즉, 방사능(Radioactivity)이란 방사성붕괴를 일으키는 성질이나 능력을 말합니다. 단위는 Ci나 Bq, dps, dpm등을 사용합니다. 1 Ci는 단위시간당 방사성붕괴를 3.7 x 10E10번을 일으킬 때를 말합니다. 이는 Ra-226 1g의 방사능과 같습니다. 그러나 Ci는 실제 방사능 측정단위로는 너무 커기 때문에 1 mCi, 1μCi, 1 nCi, 1 pCi와 같은 작은 단위로 사용합니다. 방사능의 측정단위를 물리적.. 더보기
방사선의 종류와 성질 방사선 개관 인간은 먼 옛날부터 자연 방사선을 쬐면서 살아왔다. 그러나 20세기 중반이후 원폭이나 원전 사고 등으로 막대한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거나 질병으로 고통을 받아왔다. 또한 현재에도 인간은 X-ray(선) 촬영 시나 많은 전자 제품 사용 시에 (자연 방사선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의) 많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방사선이 무엇인지를 알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방사선에 의한 피해를 줄여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방사선의 종류와 성질 종 류 본 질 투과력 전리작용 질량(양성자의) α선 헬륨의 원자핵 약함 강함 4배 β선 전자 중간 중간 1배 γ선 전자기파 강함 약함 0 X선 전자기파 β와 γ선의중간 β와 γ선의중간 0 중성자선 중성자 강함 약함 1배 방사.. 더보기
방사선의 근원과 성질 ◆ 방사선의 근원과 성질 ◎ 동위원소 핵속의 양자수(즉, 원자번호)는 핵 외부의 궤도속의 전자수와 같으며 이 수 가 원소의 화학적성질을 결정하며, 양자와 중성자수의 합계(즉, 원자량)는 원소의 물리적 성질에 주로 관련된다. 즉 원자수는 같으나 질량수가 다른 원소를 우리는 동위원소(isotope)라고 한다. ◎ 방사성 동위원소 ( Radioactive Isotope : RI ) 최초의 원소는 핵 안에서 균형을 이루어 안정한 상태이나 그 동위원소는 중 성자가 추가됨으로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불안정한 원자상태가 되며 불안정 한 원자는 분열 또는 붕괴하여 더 안정한 상태로 변하려고 한다. 이러한 불 안정한 상태의 원자를 방사성 원자라 하고 이 원자를 갖는 동위원소를 방사 성 동위원소라고 한다. 1) 알파(α)입.. 더보기
방사선 물리학 요점 정리 방사선 물리학 1. 방사선이란? 입자(particle)나 파(wave)가 공간(진공상태)를 진행해 나가는 상태. (1) 입자 방사선 ① α, β, n, p, e ②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E=(1/2)mv2 ③ 질량을 가지고 있다. ④ 전하를 가지고 있다. ⑤ 어떤 물질을 통과시 입자성을 지닌다. (2) 전자파 방사선 ① X, γ, 우주선, uv, vis, IR ②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E=hυ (h=6.625×10-27erg․sec, υ=진동수) ③ no mass, no charge ④ 광속과 거의 같다. ⑤ 파동성을 지닌다. → 물질파(de Broglie파, λ=h/mv) (3) 전리 방사선 ① 직접 전리 방사선 : 전하를 가진 방사선(중성자를 제외한 입자방사선) ② 간접 전리 방사선 : X, γ,.. 더보기
X선의 원리 1) 륀트겐의 X-선발견 뢴트겐(Wilhlem Conrad Roentgen,1845-1923)은 독일의 레네프에서 독일인인 아버지와 네덜란드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그는 네덜란드에서 공부를 했는데, 그곳에서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1865년 입학시험을 통해서 취리히의 연방공과 대학 (ETH) 기계공학과에 입학했다. 1869년 그곳에서 박사 학위를 마친 그는 독일 뷔르츠 부르크 대학의 물리학자인 아우구스트 쿤트 (August Kundt,1839-1894)의 조교가 되어 과학자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그뒤 쿤트를 따라 슈트라스부르크로 가서 1874년 교수 자격 과정(Habilitation)을 이수하고, 그 이듬해 뷔템베르크의 작은 학교에서 교수로 잠시 재직하다가, 슈트라스부르크 대학을 거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