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개관
인간은 먼 옛날부터 자연 방사선을 쬐면서 살아왔다. 그러나 20세기 중반이후 원폭이나 원전 사고 등으로 막대한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거나 질병으로 고통을 받아왔다. 또한 현재에도 인간은 X-ray(선) 촬영 시나 많은 전자 제품 사용 시에 (자연 방사선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의) 많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방사선이 무엇인지를 알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방사선에 의한 피해를 줄여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방사선의 종류와 성질
종 류 |
본 질 |
투과력 |
전리작용 |
질량(양성자의) |
α선 |
헬륨의 원자핵 |
약함 |
강함 |
4배 |
β선 |
전자 |
중간 |
중간 |
1배 |
γ선 |
전자기파 |
강함 |
약함 |
0 |
X선 |
전자기파 |
β와 γ선의중간 |
β와 γ선의중간 |
0 |
중성자선 |
중성자 |
강함 |
약함 |
1배 |
방사선의 선량
방사선이 물질을 투과할 때에는 그 경로에서 물질의 분자를 이온화, 즉 들뜨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부여한다. 따라서 조사된 물질이 받은 선량(dose)을 규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물질이 받은 에너지로 표시하는 것이다. 물질의 어떤 특정한 부분에 있어서 단위 질량 당 방사선에 의하여 부여된 에너지의 양을 흡수선량이라고 하며, X선이나 β선이 어느 장소에 있어서 공기를 이온화하는 능력을 기초로 한 방사선 강도의 측정값을 조사선량이라고 한다.
방사선의 단위
① R(뢴트겐, roentgen)선 또는 γ선을 측정하는 단위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표준상태(온도 0℃, 기압 760mm Hg)에 있는 건조한 공기 1cc(질량 0.001293g)당 X선 또는 γ선에 부수되는 입자 방출이 공기 속에 (+) 또는 (-)의 1정전단위(e. s. u)의 자유 전기량을 갖는 이온쌍을 생기게 하는 선량이라고 정의된다.
② rad(radiation absorbed dose)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방사선 단위 위원회(I. C. R. U)에서 채용된 흡수 선량의 단위로서, 1RAD는 피 조사 물질 1g당 100erg의 에너지 흡수를 일으키는 방사선량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gmaq수 선량의 실용적 단위이다. 1R은 1rad와 같다.
③ rep(roentgen equivalent physical)선 또는 γ선 이외의 이온화 방사선의 흡수 량의 단위로서 1rep는 수중 또는 조직 속에서 X선 또는 γ선이 흡수된 것과 같은 에너지가 α선이나 β선 등에 의해서 상실되었을 때의 선량이다. 최초에는 조직 1g에 대해서 83erg의 흡수를 일으키는 선량이라고 정의되었으나, 그 후 93erg를 채용하게 되었다. 현재는 이 단위 대신 rad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④ equivalent man)α선이나 β선과 같이 투과력이 작은 방사선은 생체 표면에 흡수되어 체내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같은 에너지를 갖더라도 γ선이나 중성자선은 투과력이 크기 때문에 체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같은 흡수 선량이라도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므로 동일한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선량의 단위가 필요할 때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정된 단위가 rem이다. 1 rem은 어떤 종류의 방사선에 대해서도 1rad의 X선 또는 γ선과 동등한 생물학적 위험도를 나타내는 방사선량이다.(1mrem=10-3rem)
방사선 감수성 순위
골수 > 임파선 > 생식선 > 피부 > 근육 > 뼈 > 내장
'방사선학 > X선 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이란 무엇일까? (0) | 2008.08.04 |
---|---|
반감기란? (0) | 2008.08.01 |
방사선의 종류에 따른 차폐 방법 (0) | 2008.07.26 |
방사선의 근원과 성질 (0) | 2008.07.24 |
방사선 용어해설 (0) | 2008.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