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광자, 광전 효과, 컴프턴 산란, 전자쌍 생성 . 광자와 물질과의 상호작용 광자는 전하를 띠지 않기 때문에 물질내에서의 에너지 소모과정은 정전기적인 힘과는 무관하며 원자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통해 에너지를 잃는다. 광자의 크기는 원자의 크기보다 물리적으로 아주 작다. 따라서 전자 또는 핵과 반응하기 전까지 물질을 자유롭게 투과할 수 있으며 물질과 반응할 확률은 매우 낮다. 광자가 물질의 원자 또는 핵과 반응을 하면 2차전리를 일으킬 수 있는 하전입자(전자)를 생성하므로 이런 종류의 방사선을 "간접전리방사선(indirectly ionizing radiation)"이라 부른다. 한편, 감마선과 X-선의 구분은 광자의 발생원이 핵으로부터(감마선)인가 핵의 외부에서 발생(X-선)하는가에 따라 구분하여 칭할 뿐이며 성질 및 물질과의 반응형태는 동일하다. .. 더보기 방사선 물리학 정리<신광 출판사> 1) 륀트겐의 X-선발견. 뢴트겐(Wilhlem Conrad Roentgen,1845-1923)은 독일의 레네프에서 독일인인 아버지와 네덜란드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그는 네덜란드에서 공부를 했는데, 그곳에서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1865년 입학시험을 통해서 취리히의 연방공과 대학 (ETH) 기계공학과에 입학했다. 1869년 그곳에서 박사 학위를 마친 그는 독일 뷔르츠 부르크 대학의 물리학자인 아우구스트 쿤트 (August Kundt,1839-1894)의 조교가 되어 과학자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그뒤 쿤트를 따라 슈트라스부르크로 가서 1874년 교수 자격 과정(Habilitation)을 이수하고, 그 이듬해 뷔템베르크의 작은 학교에서 교수로 잠시 재직하다가, 슈트라스부르크 대학을 거.. 더보기 방사선의 종류에 따른 차폐 방법 1. 방사선의 종류에 따른 차폐방법 방사선차폐의 목적은 어느 관심 지점, 지역, 영역에서의 방사선장의 세기를 감쇠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방사선장의 세기는 어떤 물질을 통과하는 동안 그 물질의 구성원자와 상호작용하여 감쇠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방사선의 세기를 물리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을 방사선차폐라고 한다. 이때 사용된 물질이나 재료를 차폐체라고 한다. (1) 중하전입자의 차폐 핵분열파편, α선, 중양자, 양성자 등의 중하전입자는 그 비정이 아주 짧기 때문에 종이나 고무장갑으로도 차폐가 가능하며, 비정식으로 계산하여 차폐두께를 알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그 차폐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2) β선의 차폐 β선의 비정은 중하전입자의 비정보다 크지만 조금만 주의하면 큰 문제가 없다. β선의 차폐시 가.. 더보기 방사선의 정체 방서선의 정체 방사선의 본질은 에너지를 갖는 입자의 흐름이거나 파동이며 그것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냄새도 없으며 맛도 느낄 수 없습니다. 방사선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원자로 부터 나옵니다. 원자를 이루고 있는 양자, 중성자, 전자가 균형을 이루고 있지 못할 때 방사선을 낼수 있는 능력(방사능)을 가지는데, 이러한 물질을 방사성물질이라고 하며,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일종의 에너지를 방사선이라고 합니다. 다시말하면 방사선은 어떤 물질이 구조적으로 최고의 안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변해가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방사성물질을 전등과 비교하면 방사성물질은 빛을 내는 전등 그 자체이며 방사능은 전등이 얼마만큼 밝은 빛을 낼수 있는가? 하는 능력, 즉 몇 왓트..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