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기기학 ㅠㅠ
동남..- _-
산란선 발생의 3요소
Radiation Field Size(방사선 조사야)
Patient Thickness(피사체의 두께)
X-ray Tube Voltage(kV:관전압)
X-선이 인체에 조사되었을 경우에 광자는 체내에서 흡수 되든가 직진하여 통과할 뿐만아니라, 체내에서 상호작용을 하여 그결과 처음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른바 산란선이 생긴다. 이 산란선이 X-선상의 대조도에 큰 영향을 끼친다.
만일 필름에 동일한 강한 산란선이 조사되었다고 하자 그 경우 당연히 필름은 전체에 이른바 흐림이 생긴다. 이흐림이 대조도의 저하를 야기시킨다.
직접선에 비하여 산란선의 비율이 더높아지면 대조도의 저하는 더 커진다.
산란선은 연부조직에서는 광전효과에 의한 특성선은 작고, 있어도 에너지가 낮아서 필름에까지는 도달하지않는다. 뼈에 있어서고 칼슘의 특성선은 4keV 정도의 것이 가장 많으나 뼈 부근에서 흡수되고 필름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문제가 되는 산란선의 대부분은 compton산란에 의한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산란선의 양과 선질은
입사X-선의 에너지(관전압의 차이)
조사야의크기
피사체의두께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조사야의 크기는 산란선발생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다.
조사야를 작게 할수록 조직의 좁은 용적만이 노출되기 때문에 산란선 발생도 감소할 뿐아니라 산란선은 다방향으로 방사되여 좁은 필름에 도달하는 량도 줄어든다
조사야가 커지면 산란선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지만 무한정 증가하는 것은 아니고 종국에는 발생량도 포화점에 도달한다.
그렇지만 조사야가 증가 하였다고 필름에 도달하는 산란선양에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조사야가 증가와 함께 산란선 발생총량은 증가하지만 필름의 특정 부분에 도달하는 량은 일정하기 때문이다.통상 조사야가 30×30㎝(12"×12")일 때 산란선 발생은 포화점에도달한다.
산란선의 발생량은 조사야가 커지더라도 특정넓이 이상이 되면 포화점에 도달하듯이 피사체두께가 증가하여도 일정 두께 이상에서는 역시 포화점에 도달한다. 즉 피사체두께가 늘어나는데 비례하여 산란선의 총 발생량은 증가하지만 피사체층의 상단에서 발생한 산란선은 필름에 도달할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갖지 못한다.
피사체두께 증가에 따른 산란선 발생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압박대를 이용하여 피사체두께를 감소 시키기도 하나 이방법은 적극적인 억제 방법은 아니다.
산란선 발생에서 관전압(kVp)이 미치는 영향은 조사야 피사체 두께남큼 중요하지는 않지만 광전현상이 주를 이루는 저 에너지(20∼30keV)일수록 산란선 발생이 적다.
그러나 방사선에너지가 증가하면서 콤프톤현상의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주현상이 되면 역시 산란선 발생량도 증가하게된다. 그후 에너지가 더욱 증가하여 compton산란이 주현상이되면 조사야의 크기 피사체의 두께증가에 따라 포화점에 도달하듯이 포화상태가 된다.
산란선 경감법
산란선은 대조도 저하를 가져오므로 그영향을 가급적 경감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는
산란선의 발생을 적게 하는 것
필름에 도달하는 산란선의 경감
격자를 이용한 산란선의 경감
필름 위에서 산란선의 효과를 경감한다.
1산란선의 발생을 적게 하는 방법
조사야(collimator)
산란선은 X선이 조사되는 피사체의 용적과 함께 증가된다. 따라서 산란선의 발생량을 적게 하는유효한 방법은 조사야를 최소한도로 줄이는 것 이다.최근X-선장치에서는 다중의 가변조리개가 쓰이고 있다
다중조리개는 4장의 연판으로되어 있고 이들 두쌍이 자유롭게 개폐하여 임의의크기의 장방형을 형성할수 있다.
이와같은 조리개에 의하여 환자의 피폭량을 경감시키고 산란선 발생도 감소시킬 수 있다.
관전압
latitude를 넓히기 위하여,또 환자의 피폭량 경감을 위하여 고압촬영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산란선이 발생된다.
만일 저전압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본래 대조도는 큰데다가 산란선도 적으므로 대조도의 저하도 적게 된다.
2필름에 도달하는 산란선의 경감
거리에의한 산란선의 감약
이것은 환자와필름 사이의 거리를 떼어놓는 것인데 사선인 산란선은 필름에서 비텨져 나와버린다. 그러나 고에너지의 X-선에서는 전방산라의 비율이 커지므로 저에너지의 X-선 때보다도 효과가 적어진다.그러나 이방법에서는 상의 확대율이 커지며 기하학적으로 반음영이 증대되어 상이 흐려진다. 미소초점을 사용하는 확대촬영인 경우에는 거리에 의한 산란선의 감고 때문에 격자는 보통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필름카게트의 후면 금속체:필름 카세트의 이면은 보통 Al판이 쓰이고 있는데 다시 후방산란선을 막기 위하여 납으로 후면을 부착시텨 놓았다. 그효용은 카세트 지지대 필름의 후방산란선이 필름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과 직접선도 이것으로 차단하여 카세트 내에 생기는 산란선의 수준을 내리는 데도 유효하다
3.격자를 이용한 산란선 차단
격자(grid)는 촬영부위와 필름 카세트 사이에 좋고 인체에서 나오는 산란선을 제거하여 산란선에 의한 악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
촬영부위가 얇은 부위는 산란선 발생이 적기 때문에 격자를 사용하지 않으나 두꺼운 부위는 격자를 꼭 사용하고 있다.
격자는 X-선 흡수가 큰 연박과 X-선 흡수가 작은 Al,베이크라이트,나무같은 중간 물질을 배열하고 그 표면에는 흡수가 작은 얇은 판으로 보호한 구조를 하고 있다.
1차선은 중간물질을 통과하고 ,산란선은 방향성이 없어 연박에 부딪쳐 흡수된다. 연박의 배열에 따라서 평향격자, 집속격자 ,cross 격자가 있다.
또 필름상에서 격자 선 음영을 없애기 위해 등속도로 움직이도록한 것을 Bucky stand라 한다.
격자를 사용하므로서 나쁜점은
환자에 대한 피폭선량 증가
X선관 초점을 격자 초점에 맞추기 어렵다.
따라서 격자의 집속거리와 SID가 일치하지 않으면 1차선이 연박에 의해서 흡수됨으로 필름에 노출부족 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을 Cut off현상이라고 한다.
Cut off가 생기는 경우
집속격자의 전후면이 바뀐 경우
X선속 중심선과 집속격자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SID가 집속거리와 맞지 않은 경우
격자가 기울어진 경우
이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한 경우
이러한 현상으로서 격자선택은 신중해야 한다
산란선은 조사야가 클수록 피사체의 두쎄가 두꺼울수록 관전압이 높으면 산란선의 에너지도 커진다.
따라서 이같은 경우에는 산란선 제거율이 높은 격자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격자비가 높을수록 콘트라스트는 좋아지나 저관전압에서는 노출배수가 증가되어 피폭선량이 많아지므로 사용되는 관전압에 따라 격자를 선택
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새로 개발된 고밀도의 금속박으로된 세밀형의 격자를 고정시킨 촬영대를 쓰고 있다. 격자를 사용 하면 노출조건이 4-8배 많아진다. 이때 mAs치로만 보정하면 촬영시간이 길어져 움직임에 의한 불선예도가 생길수 있으므로 관전압 mAsfh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동남..- _-
산란선 발생의 3요소
Radiation Field Size(방사선 조사야)
Patient Thickness(피사체의 두께)
X-ray Tube Voltage(kV:관전압)
X-선이 인체에 조사되었을 경우에 광자는 체내에서 흡수 되든가 직진하여 통과할 뿐만아니라, 체내에서 상호작용을 하여 그결과 처음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른바 산란선이 생긴다. 이 산란선이 X-선상의 대조도에 큰 영향을 끼친다.
만일 필름에 동일한 강한 산란선이 조사되었다고 하자 그 경우 당연히 필름은 전체에 이른바 흐림이 생긴다. 이흐림이 대조도의 저하를 야기시킨다.
직접선에 비하여 산란선의 비율이 더높아지면 대조도의 저하는 더 커진다.
산란선은 연부조직에서는 광전효과에 의한 특성선은 작고, 있어도 에너지가 낮아서 필름에까지는 도달하지않는다. 뼈에 있어서고 칼슘의 특성선은 4keV 정도의 것이 가장 많으나 뼈 부근에서 흡수되고 필름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문제가 되는 산란선의 대부분은 compton산란에 의한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산란선의 양과 선질은
입사X-선의 에너지(관전압의 차이)
조사야의크기
피사체의두께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조사야의 크기는 산란선발생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다.
조사야를 작게 할수록 조직의 좁은 용적만이 노출되기 때문에 산란선 발생도 감소할 뿐아니라 산란선은 다방향으로 방사되여 좁은 필름에 도달하는 량도 줄어든다
조사야가 커지면 산란선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지만 무한정 증가하는 것은 아니고 종국에는 발생량도 포화점에 도달한다.
그렇지만 조사야가 증가 하였다고 필름에 도달하는 산란선양에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조사야가 증가와 함께 산란선 발생총량은 증가하지만 필름의 특정 부분에 도달하는 량은 일정하기 때문이다.통상 조사야가 30×30㎝(12"×12")일 때 산란선 발생은 포화점에도달한다.
산란선의 발생량은 조사야가 커지더라도 특정넓이 이상이 되면 포화점에 도달하듯이 피사체두께가 증가하여도 일정 두께 이상에서는 역시 포화점에 도달한다. 즉 피사체두께가 늘어나는데 비례하여 산란선의 총 발생량은 증가하지만 피사체층의 상단에서 발생한 산란선은 필름에 도달할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갖지 못한다.
피사체두께 증가에 따른 산란선 발생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압박대를 이용하여 피사체두께를 감소 시키기도 하나 이방법은 적극적인 억제 방법은 아니다.
산란선 발생에서 관전압(kVp)이 미치는 영향은 조사야 피사체 두께남큼 중요하지는 않지만 광전현상이 주를 이루는 저 에너지(20∼30keV)일수록 산란선 발생이 적다.
그러나 방사선에너지가 증가하면서 콤프톤현상의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주현상이 되면 역시 산란선 발생량도 증가하게된다. 그후 에너지가 더욱 증가하여 compton산란이 주현상이되면 조사야의 크기 피사체의 두께증가에 따라 포화점에 도달하듯이 포화상태가 된다.
산란선 경감법
산란선은 대조도 저하를 가져오므로 그영향을 가급적 경감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는
산란선의 발생을 적게 하는 것
필름에 도달하는 산란선의 경감
격자를 이용한 산란선의 경감
필름 위에서 산란선의 효과를 경감한다.
1산란선의 발생을 적게 하는 방법
조사야(collimator)
산란선은 X선이 조사되는 피사체의 용적과 함께 증가된다. 따라서 산란선의 발생량을 적게 하는유효한 방법은 조사야를 최소한도로 줄이는 것 이다.최근X-선장치에서는 다중의 가변조리개가 쓰이고 있다
다중조리개는 4장의 연판으로되어 있고 이들 두쌍이 자유롭게 개폐하여 임의의크기의 장방형을 형성할수 있다.
이와같은 조리개에 의하여 환자의 피폭량을 경감시키고 산란선 발생도 감소시킬 수 있다.
관전압
latitude를 넓히기 위하여,또 환자의 피폭량 경감을 위하여 고압촬영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산란선이 발생된다.
만일 저전압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본래 대조도는 큰데다가 산란선도 적으므로 대조도의 저하도 적게 된다.
2필름에 도달하는 산란선의 경감
거리에의한 산란선의 감약
이것은 환자와필름 사이의 거리를 떼어놓는 것인데 사선인 산란선은 필름에서 비텨져 나와버린다. 그러나 고에너지의 X-선에서는 전방산라의 비율이 커지므로 저에너지의 X-선 때보다도 효과가 적어진다.그러나 이방법에서는 상의 확대율이 커지며 기하학적으로 반음영이 증대되어 상이 흐려진다. 미소초점을 사용하는 확대촬영인 경우에는 거리에 의한 산란선의 감고 때문에 격자는 보통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필름카게트의 후면 금속체:필름 카세트의 이면은 보통 Al판이 쓰이고 있는데 다시 후방산란선을 막기 위하여 납으로 후면을 부착시텨 놓았다. 그효용은 카세트 지지대 필름의 후방산란선이 필름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과 직접선도 이것으로 차단하여 카세트 내에 생기는 산란선의 수준을 내리는 데도 유효하다
3.격자를 이용한 산란선 차단
격자(grid)는 촬영부위와 필름 카세트 사이에 좋고 인체에서 나오는 산란선을 제거하여 산란선에 의한 악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
촬영부위가 얇은 부위는 산란선 발생이 적기 때문에 격자를 사용하지 않으나 두꺼운 부위는 격자를 꼭 사용하고 있다.
격자는 X-선 흡수가 큰 연박과 X-선 흡수가 작은 Al,베이크라이트,나무같은 중간 물질을 배열하고 그 표면에는 흡수가 작은 얇은 판으로 보호한 구조를 하고 있다.
1차선은 중간물질을 통과하고 ,산란선은 방향성이 없어 연박에 부딪쳐 흡수된다. 연박의 배열에 따라서 평향격자, 집속격자 ,cross 격자가 있다.
또 필름상에서 격자 선 음영을 없애기 위해 등속도로 움직이도록한 것을 Bucky stand라 한다.
격자를 사용하므로서 나쁜점은
환자에 대한 피폭선량 증가
X선관 초점을 격자 초점에 맞추기 어렵다.
따라서 격자의 집속거리와 SID가 일치하지 않으면 1차선이 연박에 의해서 흡수됨으로 필름에 노출부족 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을 Cut off현상이라고 한다.
Cut off가 생기는 경우
집속격자의 전후면이 바뀐 경우
X선속 중심선과 집속격자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SID가 집속거리와 맞지 않은 경우
격자가 기울어진 경우
이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한 경우
이러한 현상으로서 격자선택은 신중해야 한다
산란선은 조사야가 클수록 피사체의 두쎄가 두꺼울수록 관전압이 높으면 산란선의 에너지도 커진다.
따라서 이같은 경우에는 산란선 제거율이 높은 격자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격자비가 높을수록 콘트라스트는 좋아지나 저관전압에서는 노출배수가 증가되어 피폭선량이 많아지므로 사용되는 관전압에 따라 격자를 선택
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새로 개발된 고밀도의 금속박으로된 세밀형의 격자를 고정시킨 촬영대를 쓰고 있다. 격자를 사용 하면 노출조건이 4-8배 많아진다. 이때 mAs치로만 보정하면 촬영시간이 길어져 움직임에 의한 불선예도가 생길수 있으므로 관전압 mAsfh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방사선학 > 방사선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자, 광전 효과, 컴프턴 산란, 전자쌍 생성 (2) | 2010.07.30 |
---|---|
방사선 물리학 정리<신광 출판사> (0) | 2010.07.30 |
하전입자와 물질과의 상호작용 (1) | 2008.08.04 |
질량과 에너지의 관계 (0) | 2008.07.26 |
방사선물리학 단위 및 공식들 (0) | 2008.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