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용어해설
가이거-뮬러계수기
방사선 측정,검출장비로 전류의 누출이 없는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가스를 충진한 원통형관으로 되어있다. 이온화 방사선이 관을 통과할때 음전극으로 부터 양전극으로 흐르는 짧고 강한 전류펄스로서 측정.계수한다. 방사선의 강도는 초당 펄스의 수로 계수 측정한다. 1920년대 이를 개발한 Hans Geiger와 W.Mueller에 의해 명명되었고 간단하게 Geiger계수기 또는 G-M계수기로 불리운다.
감마(γ)선
핵으로 부터 방출되는 고에너지,짧은 파장의 전자기 방사선. γ-선은 종종 α 및 β입자를 방출함으로서 항상 핵붕괴를 동반한다. 또한 투과성이 매우 높고 납이나 우라늄같이 밀도가 높은 물질에 의해 차폐된다. γ선은 보통 X-선보다 에너지가 높다.
감속제
물(H2O),중수(D2O), 또는 탄소(C)와 같은 물질로서 원자로에서 고속중성자를 감속시키는데 사용한다.
감시
인체보호를 위해 방사선 작업구역내에 존재하는 방사성오염 또는 전리방사선의 선량을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
개인감시
방사선 측정기를 사용하여 개인의 방사선 피폭과 방사능오염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
검출기
방사선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로서 측정이나 분석에 이용될 수있는 반응신호를 발생하는 것
결정장기
생체가 방사선에 피폭되는 동안 신체기능의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기관(조혈기관,생식선,갑상선,눈의 수정체 등)
결합에너지
어떤 핵을 구성핵자(중성자와 양성자)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최소에너지
계수기
방사선을 검출하거나 측정하는 방사선 검출기 혹은 서베이미터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고방사선구역
신체의 대부분이 100m rem/h의 방사선량을 받는 구역. 이 지역은 고방사선 구역으로 감시되어야 하고 엄격한 방사선관리가 취해져야 한다.
광선량계측
사진 필름을 사용하여 전리방사선의 집적선량을 결정하는 것
광자
X-선, γ-선과 같이 전자파의 형태로 방사된 에너지를 갖고 있는 방사선
교정
측정장비의 동작특성을 보증하기위하여 그 정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
그레이(Gy)
흡수선량의 SI단위로서 1J/kg 이다.
기저방사선(Background)
인간의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방사선으로서 내부적으로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 외부적으로 천연방사성 원소로 부터 방출되는 방사선과 우주선 등이 포함된다. 이것은 또한 자연방사선이라고도 불리우며 적도지방에서는 수면위치에서 년당 125 m rem정도의 선량이 일반인의 피폭선량으로 되어있다.
내부방사선
인체내에 축적된 방사성 물질로 부터 기인되는 전리방사선
예)I-131은 갑상선에 Sr-90과 Pu-239는 뼈에 축적된다.
동력용 원자로
전기를 생산하기위해 만들어진 원자로
동위원소
원자의 핵속에 중성자의 수는 다르고 양성자의 수가 같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원소들. 화학적으로 같은 성질을 가지나 물리적으로 성질이 다르다.
동위원소 농축
주어진 원소중에서 특정의 동위원소의 상대적 질량비를 높이는 과정
동위원소 분리
어떤 동위원소를 다른 것으로 부터 분리하는 과정. 또는 상대적인 동위원소 존재비를 가스확산이나 전자기적 분리에 의해 변화시키는 과정. 동위원소 농축과정도 동위원소 분리과정의 하나이다.
라돈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무거운 가스상태의 방사성 원소. 원자번호는 86이고 질량수는 222이다. 라듐의 자핵종이다.
라듐
원자번호 88의 방사성 금속원소. 가장 일반적 동위원소는 질량수가 226인 Ra-226이다.
래드(Rad)
방사선이 물질에 흡수될때 흡수선량의 단위이다. 1 rad는 흡수체 1g당 100erg의 에너지흡수를 뜻한다.
램(rem)
선량당량의 단위. Roentgen Eguivalent Man의 약어로써 X-선이나 감마선을 1R 조사한 경우와 같은 생물학적 영향을 일으키게 하는 양을 1 rem이라 한다.
뢴트겐(R)
조사선량의 단위로서 표준상태의 건조한 공기 1cm3에서 생성된 전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온쌍의 한쪽 전하에 의해 1 esu의 전기량을 일으키는 X-선 또는 γ-선의 조사선량을 1 뢴트겐이라 한다.
반가층
최초의 방사선 선속의 세기를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어떤 흡수체의 두께
반감기
방사능물질의 방사능이 절반으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 즉,현재의 원자핵수의 절반이 붕괴하는데 걸리는 시간
T=ln2/ λ =0.693/λ (λ :원자핵의 붕괴상수)
방사능
방사성물질의 붕괴하는 성질로서 핵종이 방사성 붕괴를 할때 붕괴의 정도를 나타내는 붕괴율
방사능 오염
사람이나 장비에 방사성 물질이 묻은 것
방사선
방사능붕괴에 의해서 불안정한 핵으로 부터 방사되는 광자나 입자로서 전리방사선을 의미한다. 광자는 γ-선, X-선이고 입자는 알파,베타,중성자,양성자 및 중양자 등을 말한다.
방사선감시
방사선에 의한 피폭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방사선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처리를 하는 것
방사선검출기
전리방사선의 특성을 검출하고 기록할 수 있는 장치
방사선구역
방사선 작업자가 시간당 5 m rem 이나 주당 100 m rem이상의 방사선에 피폭될 수있는 방사선관리구역
방사선원
전리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
방사선차폐
어떤 방사선 선원과 작업자 또는 방사선에 민감한 기기사이에 방사선 흡수체를 넣어 방사선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것
방사성 감도
세포나 피부,신체기관 및 다른 물질이 방사선에 얼마만큼 민감하게 반응하는가를 나타내는 것
방사성 계열
한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하여 안전한 핵종으로 될때까지의 변환핵종을 나열한 것.최초의 핵종을 모핵종이라 하고 중간것을 자핵종 최후의 것을 최종생성물(안정핵종)이라 한다.
방사성 동위원소
불안정한 동위원소가 자발적으로 붕괴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는 핵종.천연 동위원소와 인공동위원소를 합하여 약 5000개 정도가 있다.
방사성붕괴
원자핵으로 부터 α입자 혹은 β입자가 대개 γ-선과 함께 자발적인 방출을 함으로서 시간이 경과하면 방사능 물질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방사성 폐기물
고체,액체,기체 상태의 사용이 불가능한 방사성물질. 폐기물은 수 μ Ci/l인것을 저준위, 수 m Ci/l 이상인것을 고준위, 그 중간 것을 중준위의 페기물로 분류한다.
방사화
중성자, 양성자에 의하여 어떤 물질이 방사성을 갖는 물지로 변환시키는 것
베크렐(Bq)
국제 단위계의 방사능 명칭으로 1초당 1붕괴하는 방사능을 가리키는 SI단위이다.
베타(β)입자
방사성 붕괴에 의하여 핵으로 부터 방출되는 하전입자로써 양성자 무게의 1/1837무게를 갖는다. 음전하(-1e)를 갖는 β-입자는 음전하로 부르며 전자와 동일하고 양전하(+1e)을 갖는 β+입자는 양전자라 부른다. 에너지가 큰 β입자는 피부를 손상시키기도 하며 만약 β입자 방출핵종이 신체내부에 들어갔을때는 대단히 위험할 정도로 신체손상을 입힌다. β입자는 두꺼운 금속판이나 플라스틱으로 쉽게 차폐시킬 수 있다.
보건물리학
전리 또는 비전리 방사선으로 부터 인체에 미치는 장해효과를 평가,연구하는 학문
불활성기체
다른 원소와 화학적 결합을 하지 않는 가스상태의 원소. 원자가가 0인 기체원소(헬륨,네온,아르곤,크립톤,크세논,라돈)이다.
비례계수기
전리방사선에 의해 가스로 채워진 전리함내에 만들어진 이온수가 펄스수에 비례하는 것을 원리로 하여 만들어진 방사선 측정을 위한 검출기
삼중수소
핵속에 한개의 양자와 두개의 중성자를 가진 수소의 방사성 동위원소. 화학적으로는 천연수소와 같으므로 인체내에 쉽게 섭취될 수있다. 순 β붕괴에 의하여 β-입자를 방출하며 반감기는 12.5년이다.
생물학적 반감기
신체내부에서 생리적 현상에 의해 방사성물질의 양이 자연적으로 1/2로 줄어드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선량
이온화방사선에 해당하는 (누적된 또는 집적된)양이다. "선량"은 때때로 조사선량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뢴트겐의 단위로써 공기중에 발생된 방사선량의 이온화양으로 측정된다. 이 "선량"은 래드단위의 흡수선량과는 구분되어지며 이 흡수선량은 어떤물질의 1g당 방사선으로 부터 흡수된 에너지로서 정의된다. 램단위로써 사용되어지는 생물학적 선량은 방사선피폭으로 부터 생길 수 있는 생물학적인 장해효과와 관련된다.
선량계
전리방사선의 총 집적피폭선량을 측정이나 기록하기 위한 휴대용계측기이다.
선량계측
방사선량의 기록 및 측정을 포함한 기술적인 면과 원리 및 원리의 적용을 말한다. 실제적인 개념은 측정을 실행하는 방사선장비의 여러가지형에 관련하여 쓰여지고 있다.
선량당량
선량당량은 흡수선량에 분포계수와 선질계수를 곱하여 얻어진다. 이 양은 렘(rem)으로 나타난다.
선량율
단위시간당 방사선량으로써 예를 들면 R/h, rad/h, rem/h 등이다.
선속
어떤 방사선의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입자수로서 단위는 입자수/cm2.s이다.
선질계수
방사선을 흡수하는 물질이 생체조직일때 선량당량을 검출하기 위한 선량당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수.
섬광계수기
전리방사선 측정장치의 하나로서 섬광물질(NaI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는 방사선 검출기
스메어법
방사성 물질에 의한 표면 오염을 감시하는 방법의 하나. 물체 표면상의 방사성 물질을 여과지로 닦아내어 측정한다.
시버트(Sv)
선량당량의 SI단위
안정동위원소
방사성붕괴를 하지 않는 동위원소
알라라(ALARA)
방사선 방어의 기본개념으로써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의 첫문자를 따온것이며 방사선 작업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가능한 한 줄여서 방사선피폭량을 합리적으로 낮게 한다는 방사선 방어의 원리이다.
알파(α)입자
방사성 원소의 핵으로 부터 붕괴되어 방출되는 양전하입자로써 전기적으로 +2의 양전하를 갖고 원자량이 4로써 헬륨(42He)핵과 동일한 입자이다. 이것은 아주 낮은 투과력과 짧은 비정을 갖고 있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알파입자도 대부분 피부층을 투과하지 못한다. 그러나 신체내부에서 알파입자가 방출될 경우에는 매우 위험할 정도로 생체에 장해효과를 일으킬 수있다.
양선자(p)
원자핵내의 핵자중 양전하를 갖는 방사선입자
양전자(β+)
전자와 같은 질량을 가지나 전하는 (+e)인 입자
원자번호
주기율표에서 원소의 위치와 관련되며 원자핵속의 양전하(+1)을 갖는 양성자의 수로서 우너자의 전자수와 같다.
원자에너지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는 원자력에너지의 원천으로서 이러한 의미에서 핵에너지가 보다 더 옳바른 표현이다.
원자핵
본질적으로 원자의 질량이 되며 양전하를 갖고 중성자와 양성자를 포함한다. 양성자의 수는 원자번호로 주어진다. 주어진 원자의 양성자수와 중성자수의 합을 질량수라 한다.
X-선
가시광선보다 매우 짧은 파장을 갖는 투과성 전리방사선. X선은 핵주위의 전자장에서 전자의 천이에 의해서 생긴다. 본성이 같은 γ-선은 핵붕괴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다. X-선은 W.K. Roentgen에 의해 발견되었으므로 뢴트겐선이라고도 한다.
열중성자
상온에서 평균에너지가 0.025eV, 평균속도가 2200m/s로서 주위에 매질과 열평형상태가 있는 중성자
외부 방사선
신체 외부에 있는 방사선 물질로 부터 방출되는 전리방사선
우라늄
원자번호 92의 방사성 원소로서 원자량이 약 238이며 천연광에서 생산된다. 천연광중에서 중요한 U-235는 0.7%정도이고 U-238은 99.3%정도가 포함되어 있다.
유도방사능
안정물질이 중성자를 흡수함으로서 생성된 방사능. 예를 들어 안정동위원소 Co-59가 중성자를 흡수하여 Co-60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된다.
유효반감기
사람이나 동물같은 생체계내에 존재하는 방사성핵종의 방사능이 방사성붕괴나 생리적 감소에 의해 반으로 줄어드는데 필요한 시간
1/유효반감기 = 1/물리적반감기 + 1/생물학적 반감기
여기서 물리적 반감기는 흔히 말하는 반감기이다.
전리
한개 또는 두개이상의 전자가 어떤 원자나 분자로 부터 방출되거나 원자나 분자에 첨가되는 과정 또는 분자의 세분화과정. 전리를 일으키는 것으로는 고온, 전기적 방전 또는 전리 방사선 등이 있다.
전리방사선
원자나 분자로 부터 전자를 떼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방사선. 이에 의해 이온이 생성된다.
예) α,β,γ,X-선,중성자 및 양성자 등
전리함
가스로 충진된 밀폐된 함에서 방사선이 충진가스를 전리시킬때 흐르는 세기에 의해서 전리 방사선을 검출하는 측정기기
전자
단위 음성전하로서 양성자의 약 1/1800의 무게를 갖는다.전자는 양전하를 갖는다. 전자는 양전하를 갖고 핵 주위를 돌고 있으며 이것이 원자의 화학적인 성질이 결정한다.
전자파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기인되는 진행파로서 단파장의 X-선 및 γ-선으로 부터 자외선,가시강선,적외선,레이다파와 라디오 주파수로 사용되는 장파가 있다. 모든 전자파는 진공중에서 광속도로 진행한다.
제한구역
방사선 피폭이나 방사선 물질로 부터 개인의 보호를 위해 출입을 제한하는 구역
조사
방사선에 의한 피폭으로 X-선과 γ-선에 적용된다.
주기율표
원자번호의 증가와 화학적 성질에 따라 원소를 배열해 놓은 그림표. 같은 원소족에 속하는 원소들은 일반적으로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중성자
핵속에 들어 있는 양성자보다 약간 무거운 비전하 방사선입자
중성자 선원
원자로에 삽입하여 연쇄반응을 시작하게 할 만큼 충분한 중성자 또는 중성자 검출장치에 감지되기에 충분한 중성자를 갖는 방사성 물질.
중성자 포획
원자핵이 중성자를 흡수하는 과정.
지각방사선
천연적으로 지각내에 있는 방사성 물질에 의해 방출되는 천연 방사선
질량수
원자핵 속에 들어있는 핵자수(중성자와 양성자수의 합)로서 원소의 원자량으로 알려져 있다.
집적선량
어떤 일정기간 동안 생체의 동일한 부위에 반복해서 방사선을 조사할때 피폭선량의 총합계
차폐
전리방사선의 영향으로 부터 신체나 물질을 보호하기위하여 방사선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것
천연 우라늄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우라늄. 0.7%의 U-235와 99.3%dml U-238로 구성되어 있고 U-234가 극미량 함유되어 있다.
치사선량(50LD30)
방사선에 피폭되었을때 피폭된 생물이 30일이내에 50%의 사망율을 일으키는 방사선량. 일반적으로 짧은 기간에 400-500 rem의 선량이 치사선량 50LD30으로 인정된다.
퀴리(Ci)
어떤 방사성물질의 방사능세기를 나타내는 기본단위이다. 1퀴리는 라듐 1g의 붕괴율로서 1초당 3.7×1010개 붕괴하는 양이다. 이양은 다른 방사성핵이 1초당 3.7×1010개 붕괴하는 것과 같다. 1898년 라듐(Radium)을 발견한 Curie부처의 이름을 따른 표현이다.
파일(pile)
원자로. 최초의 원자로가 방사선 차폐물로서 탄소(C)와 우라늄을 쌓아서 만들어졌으므로 pile이라 하였음.
포켓 선량계
방사선에 의한 누적피폭선량을 나타내는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기.
플루토늄(Pu)
원자번호 94인 인공적으로 만든 방사성원소. 플루토늄은 Pu-239로서 U-238에 중성자를 조사하여 만든다.
피그(pig)
방사성물질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방사선 차폐용기. 보통 원자번호가 큰 납으로 만들며 두께는 방사선으로 부터 용기를 취급하는데 안전한 정도로 설계하여 제작한다. 큰 용기는 보통 캐스크(cask)라 한다.
피폭
방사선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방사선을 받는 것이다. 실제적인 피폭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많은 양의 전리방사선을 받는 것을 의미하며 만성적인 피폭이란 긴 시간동안에 걸쳐 방사선을 경험하는 것이다.
필름 뱃지
개인피폭 감시를 위해서 방사선 피폭선량의 개략적인 측정을 위해 사진필름을 사용한 방사선 측정용 뱃지. 뱃지에는 2-3개의 각기 다른 감도를 갖는 필름과 어떤 특별한 형태의 방사선으로 부터 필름을 차폐하는 필터가 들어 있다.
하전입자
전기적으로 양성이나 음성전하를 가진 이온입자.
핵력
원자핵내 핵자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
핵분열
핵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거의 비슷한 질량을 갖는 2개(드물게 3개 또는 4개)의 핵으로 분열되는 현상. 이때 대개 2-3개의 중성자가 방출된다.
핵분열 가능 물질
중성자에 의해서 핵분열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Th-232와 U-238이다.
핵분열가스
가스상태로 존재하는 핵분열생성물로서 크립톤,크세논, 라돈 등의 불활성 가스가 그예이다.
핵분열 생성물
무거운 원자핵의 핵분열에 의해서 형성된 핵(핵분열 조각) 또는 핵분열조각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 형성된 핵이다.
핵분열성 물질
열중성자에 의해서 핵분열이 가능한 물질. 본래 U-233, U-235, Pu-239 등은 핵분열성 물질이다.
핵 에너지
핵분열 또는 핵융합같은 핵반응에 의한 에너지 또는 방사성 붕괴에 의한 에너지
핵자
원자핵을 구성하는 입자(중성자, 양성자 등)의 총칭이다.
핵종
동위원소로 알려진 279개의 안정원소 및 약 5000개의 불안정 원소를 합한 모든 화학원소의 총칭이다.
향골성 핵종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흡수되었을 때 골수에 축적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예를 들면 90Sr, 226Ra 등이다.
흡수
입자나 광자가 물질을 통과할 때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선속이 감소되거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이다.
'방사선학 > X선 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의 종류에 따른 차폐 방법 (0) | 2008.07.26 |
---|---|
방사선의 근원과 성질 (0) | 2008.07.24 |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 (0) | 2008.07.14 |
방사선의 정체 (0) | 2008.07.14 |
방사선의 이용분야 (0) | 2008.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