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o's 2008. 7. 17. 01:55

Ⅰ.할로겐원소

1)종류: 플루오르(F), 염소(Cl), 브롬(Br), 요오드(I), 아스타틴(At)

←이들은 모두 7개의 최외각 전자를 가짐

2)할로겐화 은: 은과 할로겐원소의 화합물. AgBr, AgCl, AgI는 감광성을 나타내므로

감광재료로 사용

①AgBr(브롬화은)-유제 제조시 많이 사용(90~99%). 최저감도=480nm, 최대감도=430nm

②AgCl(염화은)-다른 재료보다 신속히 현상․정착됨, 저감도로 확대용

③AgI(요오드화은)-감도가 낮아 단독 사용을 안하고 ①과②를 혼합하여 사용

①과 혼합 사용시 감도가 최대, 분광감도가 장파장쪽으로 이동

3)감광도(각 화합물의 입자크기): AgBr + AgI > AgBr > AgCl > AgI

4)결정입자: 사진 유제용 결정의 평균크기는 1.0~1.5㎛. 편심입방격자(등축정계)의 결정형

5)결정의 결함

①Frenkel 결함-은 이온이 격자점에서 격자간으로 이동

②Schottky 결함-격자점에서 결정표면으로 이동

6)용해도: AgCl > AgBr > AgI ←용해도와 관용성은 무관함

7)광흡수 파장단: AgI > AgBr(480nm) > AgCl(440nm)

AgI가 장파장에 감광되는 level이 가장 높음

Ⅱ. 사진 감광재료의 종류

1)은염감광재료(negative, positive, 복제용, X-ray 용, 특수감광재료)

<장점>①감광도가 높다.

②감응하는 방사선에너지가 넓다.

③화질, 정보량이 우수하다.

④보존기한이 길다.

⑤종류가 풍부하고 응용범위가 넓다.

<단점>①가격이 높다.

②습식처리가 필요하다.

③즉시성이 아니다.

④압력, 마찰, 화학물질에 민감하다

2)비은염감광재료

Ⅲ.사진특성의 개념

1)감도(Sensitivity)

: 목적하는 image를 얻는데 필요한 노광량(exposure)의 정도를 나타냄

감도가 높다=exposure↓, 감도가 낮다=exposure↑

2)계조도(Gradation) 및 대조도(Contrast)

: 피사체 각 부분의 명암이나 X선 투과도의 대소변화가 image에서의 농도로는 어떻게 변화 하는가를 나타냄

3)관용도(Latitude)

: image에서 농담의 변화를 충실히 나타낼 수 있는 범위가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는 특성

4)감색성(Color sensitivity)=분광감도

: 감광재료가 어떤 색광에 어는 정도 노광할 수 있는가의 비율을 파장영역별로 분류한 것

명 칭

감 색 성

파장(nm)

감광재료의 용도

regular(비정색성)

orthochromatic(정색성)

panchromatic(전정색성)

super- panchromatic

infrared

청색광

청․녹색광

청․녹․적색광

적색광

청․적외선

~500

~580

~600

~700

~500, ~700

직접촬영용 X선 film, 희토류계 형광체 증감지

인물사진, 간접 X선 촬영, 영화용 film

일반사진, 흑백 film

특수촬영, 항공사진

<감색성과 감광재료의 용도>

적외

5)선예도(Sharpness)

: 피사체 각 부분의 경계나 세밀한 부분이 어느 정도 선명하게 재현되는가를 나타내는 것

: 관련인자-현상액의 노화도, 입상성, 증감지와 필름의 밀착, 증감지의 입상성

6)입상성(Graininess)

: image를 볼 때 눈으로 보아 깔깔하게 느끼는 정도를 나타낸 것

Ⅳ.필름

보호막

유제층

하도포층

지지체

Curl 및 halation 방지층

1)구조

보호막

감광유제층

하도포층

지지체(150~250㎛)

하도포층

감광유제층(5~6㎛)

보호막

<양면유제 필름> <단면유제 필름>

①지지체(base): film의 다른 층을 지지하는 역할, 난용성의 Polyester 사용

▶지지체의 구비조건: 물리적 성질-내구성, 감도

광화학적 성질-투명, 무착색

화학적 성질- 유제에 무해

열적 성질-내열성, 불연성

②하도포층(하인층): 유제층과 지지체층에 접착시키는 역할

③유제층: 실제 감광이 일어나는 곳으로 할로겐화은을 보호교질인 gelatine에 균일 분산시킴

X선 film 유제물질=AgBr + AgI

④보호막: 유제층을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gelatine을 표면의 막으로 사용

⑤Curl 방지막: 현상하는 동안 film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

⑥halation 방지층: 유제층을 투과한 빛이 지지체와의 경계면이나 지지층 뒷면에서 반사되어 유제를 감광시키는 현상(halation)을 방지하는 역할

2)필름의 제조

①감광유제의 제조(Mixing): AgNo3 + KBr → AgBr + KNo3

②물리숙성(제1숙성): 온도 50~60°에서 수 십분간 유지(고른 Mixing을 위해)

③분쇄

④수세: KNo3의 수세

⑤화학숙성(제2숙성): AgBr 결정 안에 감광핵을 형성하여 유제의 감도를 증강시키는 단계

⑥첨가제의 첨가: 첨가제의 종류→증감색소, 경막제, 살균제, wetting agent, 가소제,

fog방지제, 거품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⑦도포

3)안전광(Safe-light)

: 암실 작업시 사용, 각 유제의 감광 파장 영역보다 장파장의 색광에서 작업을 함

①Regular: 농적색

②Ortho: 등적색

③Panchro, Super-panchro, Infrared: 암흑, 안전광 사용을 안함

4)Gelatine

①분자의 형태: (NH2CH2COOH)n

②물리적 특성: 현상처리액이 쉽게 침투하도록 함

입자의 응집을 감소시킴

유제를 film base에 결합시킴

할로겐화 은이 기대크기로 성장하도록 도움

③사진학적 특성: 유황의 불순물을 제공하여 전자포획을 깊게 함

결정 결함을 형성하여 전자포획의 생산을 가능케 함

브롬이온이 노출된 후에 다시 결합하는 것을 방해

④잠상형성: 화학적 불순물, 결정격자의 물리적 결함, 결정성장의 매개체,

현탁제와 결합제로서 작용

5)분광증감: 필름의 제조공정 중 감광유제에 증감색소를 첨가하느 증감처리로 연료증감, 색증 감, 광학증감이라고도 한다. 분광증감 처리 시 사용하는 염료를 증감색소라 함

*참고> 필름의 증감처리